예전에는 인증서 하면 은행에서 발급받는 공동인증서만 생각했는데, 최근에는 금융인증서, 카카오, 네이버, 토스 인증서 등등.. 종류가 정말 다양해졌죠.
그 중에서도 헷갈리기 쉬운게 금융인증서과 공동인증서인데요, 이름도 비슷하기 때문에 혼동하기가 쉽습니다.
금융인증서와 공동인증서의 차이점은 무엇인지 살펴보겠습니다.
공동인증서란?
먼저 우리에게 익숙한 공동인증서를 먼저 알아보겠습니다.
과거에 공용인증서라고 불렀던 인증서인데 2020년 12월 10월 공인인증서 제도가 폐지 및 명칭이 변경되면서 최근에는 공동인증서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이전에는 온라인으로 신분을 증명하는 방법은 무조건 "공용인증서"를 사용하는 방법 뿐이었는데요.
기존의 인증 기관 뿐 아니라 다양한 인증기관이 참여할 수 있게 되었고 인증서의 종류도 다양해졌습니다.
덕분에 소비자는 선택의 폭이 넓어짐과 동시에 인증서 종류가 너무 많아서 헷갈리는 지경에 이르기도 했죠.
아무튼, 이름이 바뀐 공동인증서는 국가가 지정하는 공동인증기관으로부터 신원확인을 위해 발급 받은 온라인 거래를 위한 신분증의 역할을 유지하고 있는데요 쉽게 말하면 "온라인 인감증명서" 입니다.
공동인증서에는 신원을 확인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비밀번호를 입력함으로써 나의 신원을 증명하게 됩니다.
공동인증서는 금융결제원, 한국전자인증, 한국정보화진흥원, 코스콤, 한국정보인증 그리고 한국무역정보통신(KTNET) 이렇게 6개의 공동인증기관을 통해 발급받을 수 있고, 공동인증서를 선택하는 화면에서 발급기관을 각각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우리가 보통 인증서를 발급받을 때 저런 기관에서 발급받는거 같지가 않죠?
바로 공동인증기관별 대행기관이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금융결제원(yessign) 공동인증서 등록대행기관
금융결제원은 우리가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시중은행을 통해 공동인증서를 발급받을 수 있도록 지정해두었습니다.
우리은행, 신한은행, 국민은행, 하나은행, 제일은행, 외환은행, 기업은행, 수협, 농협중앙회, 새마을금고 등등... 이런 곳에서 공동인증서를 신청했다면, 금융결제원의 인증서를 발급받은 것 입니다.
개인인증서, 범용인증서 등 용도에 따라 발급받을 수 있고 주변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인증서의 형태라고 볼 수 있습니다.
한국정보인증(signgate) 공동인증서 등록대행기관
인터넷 우체국, 인터넷 시큐리티, 코아게이트, 상공회의소, 광주 정보센터, 대구 정보센터, 대전 정보센터, 신원정보기술 등의 기관이 지정되어 있습니다.
위 기관에서 공동인증서를 신청했다면, 발급기관은 한국정보인증이 됩니다.
코스콤/한국증권전산 (signkorea) 공동인증서 등록대행기관
한국증권, 선물 거래와 관련된 전산 시스템 대부분은 코스콤의 대행기관입니다.
증권사에서 인증서를 발급 신청했다면, 발급기관은 코스콤 (signkorea) 가 되는 것이죠.
한국전자인증 (crosscert) 공동인증서 등록대행기관
각 지역별 조달연구원 또는 상공회의소에서 등록대행이 가능합니다.
한국무역정보통신/KTNET (tradesign) 공동인증서 등록대행기관
각 지역별 조달연구원 또는 상공회의소에서 등록대행이 가능합니다.
한국정보화진흥원 (nia) 공동인증서
국가기관등의 공공업무수행을 위한 특수목적용으로만 발급이 가능하며, 일반 개인의 업무 목적으로는 발급 및 사용이 불가합니다.
금융인증서란?
다음으로 알아 볼 것은 금융인증서입니다.
금융인증서와 공동인증서의 가장 큰 차이는 바로 발급주체, 기관이 누구냐는 것입니다.
앞에서 공동인증서의 경우 국가가 지정하는 6개의 기관에서 발급이 가능했는데요, 금융인증서의 경우 금융결제원에서 인증서 발급을 주관하고 있습니다.
금융결제원이 발급을 주관하고 있으므로, 대부분의 시중은행에서 금융인증서 발급이 가능합니다.
공동인증서의 경우 컴퓨터나 핸드폰에 저장을 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는 반면, 공동인증서의 경우 클라우드 서버에 보관이 되기 때문에 한번 발급을 해두면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유효기간이 3년으로 긴 편이고, 그 이후에는 자동으로 갱신이 되기 때문에 많은 사용자들이 선택하고 있는 인증 수단인데요.
다만, 여러 증권사와 카드사 그리고 정부기관 등에서 호환이 되지 않기 때문에 은행거래를 하는 용도로만 주로 이용이 가능하다는 것이 최대의 단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금융인증서 vs 공동인증서 차이점?
금융인증서 | 공동인증서 | |
발급기관 | 금융결제원 | 국가 지정기관 6개 금융결제원, 한국전자인증, 한국정보화진흥원 코스콤, 한국정보인증, 한국무역정보통신 |
인증서 보관방법 | 금융 시스템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 사용자 컴퓨터, 핸드폰 등에 저장하지 않음 |
사용자의 기기(PC, 스마트폰, USB 등) |
인증서 유효기간 | 3년 (자동갱신) | 1년 (수동갱신) |
비밀번호 형식 | 6자리 숫자 (간편한 편) | 영문+숫자+특수문자 혼합사용 (복잡한 편) |
PC보안프로그램 여부 | 불필요 (간편한 편) | 필요 (복잡한 편) |
사용처 | 제한적 인증서 종류마다 사용가능한 사이트가 다름 |
제한없음 인증서가 필요한 대부분의 곳에서 사용이 가능 |
발급비용 | 무료 | 무료 또는 유료 |
발급수단 | 본인 명의 핸드폰과 어플리케이션 필요 | PC에서 발급 후 내보내기를 통해 공유해서 사용 가능 |
관련글
공동인증서 (구, 공인인증서) 종류 알아보기
공인인증서 종류? 무순위 청약에 필요한 공인인증서는?
주택 청약을 위해서는 공인인증서가 필요하다고 언급하였습니다. 그렇다면, 공인인증서란 무엇인가요? 공인인증서란? 공인인증서는, 온라인 세상에서 모든 전자거래를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
cyrooka.tistory.com
은행에서 공동인증서 (구, 공인인증서) 발급 받는 방법
은행 공인인증서를 발급해보자!
은행 공인인증서 발급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초보자를 위한 은행 공인인증서 발급에 대한 궁금증 3가지. 1. 은행 공인인증서는 어디서 발급받나요? 2. 은행 공인인증서를 발급받으
cyrooka.tistory.com
'정보창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약캘린더 청약홈 2월 분양일정 한눈에 보기 (0) | 2021.02.08 |
---|---|
증평 대성베르힐리오파크 분양 정보 알아보기 (0) | 2021.01.23 |
송도자이 크리스탈오션 분양정보 모집공고 안내 (0) | 2021.01.22 |
2021년 1월 넷째주 청약홈 분양정보 (0) | 2021.01.22 |
2021년 1월 3째주 청약홈 아파트 특별공급 1순위 분양일정 알아보기 (0) | 2021.01.10 |